CFE로고
자유기업원 하이 카지노
밀리언 카지노 세미나
자유기업원 시장다낭 크라운 카지노칼럼
자유기업원 런던 카지노
자유기업원 세계사에서 세븐 카지노 배우다
세븐 카지노 자유기업원 판매도서
세븐 카지노 자유기업원 판매도서
ENG search

피케티의 하노이 카지노론 3

Randall Holcombe / 2014-09-26 / 조회: 17,677

*본 내용은 아래 기사를 요약 번역한 내용임*

Randall Holcombe, “Piketty’s Capital: III,” The Independent Institute, May 2014


최근에 베이컨에 올린 포스트에서 나는 토마스 피케티의 책 “21세기 하노이 카지노론”에 나와있는 “하노이 카지노주의의 제 1법칙”에 대해서 반박했다. 21세기 하노이 카지노론은 하노이 카지노의 가치와 하노이 카지노에 의한 수익의 인과 관계를 반대로 묘사했다. 하노이 카지노수익을 a, 하노이 카지노수익률을 r, 하노이 카지노가치를 B로 나타내면서, 피케티는 하노이 카지노가치와 수익률의 곱은 하노이 카지노수익률과 같다고 주장했다.

(a=r*B)


사실 하노이 카지노가치는 수익률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수학적으로는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을 다시 수정하자면 하노이 카지노가치(B)는 하노이 카지노수익(a)/하노이 카지노수익률 (r)이다. (B=a/r) 회계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은 정확하다. 하지만 내가 수정한 공식은 더 정확한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나의 공식은 a의 역할과 r의 역할에 대해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피케티는 하노이 카지노으로부터 얻어진 하노이 카지노의 가치와 소득의 가치를 모두 총소득의 일부분으로 정의했다. 그래서 그는 B를 하노이 카지노가치/소득, 그리고 a를 총소득의 일부인 하노이 카지노소득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여기서 양쪽 면을 모두 소득으로 곱해버리고, B를 하노이 카지노스톡의 가치로, a를 소득으로 나타낼 수 도 있다.


피케티는 리스크가 더 큰 투자는 더 높은 수익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그의 실증적인 분석과 관계가 없다. 하노이 카지노가들의 하노이 카지노을 위태롭게 만들고 그들의 어떤 수익률도 보장하지 못하는 그 아이디어는 관심을 끌 수 없다. 내가 전에 올린 포스트에서 말했던 것처럼 하노이 카지노가들이 하노이 카지노으로부터 얻은 소득은 그들의 투자활동이 얼만큼의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냐에 달려있다.


내가 수정한 공식 B=a/r를 보면, 하노이 카지노수익인 a가 증가하면 하노이 카지노의 가치인 b도 오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노이 카지노가치는 소득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여기서 소득은 가치에 의존한다. 하지만 피케티는 이것을 반대로 서술했다.


피케티는 하노이 카지노수익률이 상당히 오랫동안 안정화 추세에 있었다고 하고, 나 또한 이 일반화의 방식은, 형식화된 역사적 사실로써, 논란거리가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공식에 의하면 경제환경이 더욱 위태로워질 수록, 즉 하노이 카지노가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면, 소득이 일정한 상태이더라도 하노이 카지노가치는 하락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식적으로 공식은 하노이 카지노을 소유하는 것의 리스크가 크다면 그 하노이 카지노은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번역: 조성환 자유경제원 인턴
출처: <원본보기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25 정부는 CEO 연봉 수준에 관여해야 하는가?
Charles Lammam / 2015-01-16
Charles Lammam 2015-01-16
24 택시 운전사들은 법정 규제 기관이 아닌 소비자들을 위해 일해야 한다.
Dmitry Vasishev / 2015-01-07
Dmitry Vasishev 2015-01-07
23 택시! 지금은 21세기다!
Fred Roeder / 2014-12-30
Fred Roeder 2014-12-30
22 피케티, 경제는 모르는 경제학 기술자?
좌승희 / 2014-11-05
좌승희 2014-11-05
21 동남아시아 중진국의 함정
William T. Wilson / 2014-10-15
William T. Wilson 2014-10-15
20 정부의 창조적 파괴
Rich Tucker / 2014-10-10
Rich Tucker 2014-10-10
피케티의 하노이 카지노론 3
Randall Holcombe / 2014-09-26
Randall Holcombe 2014-09-26
18 최저임금제도: 빈곤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지 않아
Joseph J. Sabia / 2014-09-01
Joseph J. Sabia 2014-09-01
17 자유시장, 제한된 정부는 성공을 위한 지름길
James M. Roberts / 2014-08-28
James M. Roberts 2014-08-28
16 시장경제에서의 바람직한 농업정책
Daren Bakst / 2014-08-14
Daren Bakst 2014-08-14
15 박정희 대통령의 성공원리는 정치의 경제화
좌승희 / 2014-07-31
좌승희 2014-07-31
14 최저 생활 임금제는 가장 취약한 계층을 해친다
Charles Lammam / 2014-07-29
Charles Lammam 2014-07-29
13 피케티가 말하는 불평등
Randall Holcombe / 2014-07-17
Randall Holcombe 2014-07-17
12 월드컵에서 이기는 법: 돈 혹은 거버넌스?
Daniel Kaufmann / 2014-07-12
Daniel Kaufmann 2014-07-12
11 불평등이 과연 나쁜 것인가?
Axel Kaiser / 2014-07-08
Axel Kaiser 2014-07-08